제목 | 인천상공회의소 미국 관세부과 관련 기업 비상경제 간담회 | |||||||||||||||||||
---|---|---|---|---|---|---|---|---|---|---|---|---|---|---|---|---|---|---|---|---|
작성자 | 안준혁 | 작성일 | 2025.04.08 | |||||||||||||||||
첨부파일 | ||||||||||||||||||||
인천상공회의소(회장 박주봉)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을 초청하여 8일 오전 인천상공회의소 의원실에서 인천지역 주요 기업들과 ‘미국 관세부과 대응 비상경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조치·예고에 따른 기업의 애로를 건의하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하였으며, 철강(동국제강㈜), 의약품(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반도체((유)스태츠칩팩코리아), 자동차부품(㈜경우정밀), 전자부품(엘티메탈㈜) 분야의 인천지역 주요 수출 기업과 한국무역협회 인천본부, 코트라 인천지원본부에서 참석하였다. 앞서 인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조치가 인천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에 따르면, 인천지역 기업의 74.0%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특히 자동차·의약품 등 업종은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아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기업 간담에 앞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최태림 센터장은 ‘미국 관세정책 동향’을 발표하였다. 최태림 센터장은 “미국 정부의 관세부과로 철강과 볼트·너트·범퍼 등 파생 상품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경우에도 인천에서 생산되는 완제품의 대미수출 비중이 높아 전반적인 수출 비용 상승이 예상된다. 따라서 수출 경기의 급격한 냉각 방지 및 공급망 재편 대응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들은 ▲ 美 관세 정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대응 및 협상 추진 ▲ 美 관세 정책 관련 정보 체계적 공유 ▲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업지원방안 마련 ▲ 민·관 협력체계 구축 등을 요청하였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관세․통상정책은 국가사무로 지방정부 대책이 제한적이지만, 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하겠다.”며, “정부정책과 관련된 사항도 언제든 건의해 주시면 시도지사협의회장으로서 지방정부의 의견을 수렴해 잘 정리해서 정부에 건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유정복 시장은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미국 발 관세정책 및 지원 방안 등 관련 정보를 기업들에게 정확하게 제공해서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고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미국 관세부과 대응을 위한 비상대응 TF를 잘 구축하고, 관세피해에 대비한 특별경영안정자금을 신속히 지원할 수 있도록 조치하라”고 관계부서에 지시하였다. 박주봉 인천상공회의소 회장은 “기업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신 유정복 시장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오늘 간담회가 우리 기업이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현재의 통상 환경은 단순한 무역 장벽이 아니라 기업의 존립과 직결된 사안으로, 인천상공회의소도 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자체, 산업계와 협력하여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별 첨 : 행사사진 1부. 끝.
|
▲ | 2025년 2분기 소매유통업경기전망(RBSI) 결과 |
---|---|
‒ | 인천상공회의소 미국 관세부과 관련 기업 비상경제 간담회 |
▼ | 카자흐스탄 안드레이 신 신라인그룹 회장 인천상의 방문 |
우 21632 인천광역시 남동구 은봉로60번길 46(논현동, 인천상공회의소)
대표전화 : 032-810-2800~3, 팩스번호 032-810-2807 문의 : inchon@korcham.net
Copyright (c) 2017 inche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