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인천지역 제조기업 경영애로 및 입법과제 조사 | |||||||||||||||||||
|---|---|---|---|---|---|---|---|---|---|---|---|---|---|---|---|---|---|---|---|---|
| 작성자 | 안준혁 | 작성일 | 2025.10.31 | |||||||||||||||||
| 첨부파일 | ||||||||||||||||||||
|
인천상공회의소(회장 박주봉)가 최근 인천지역 소재 기업 235개사를 대상으로 ‘인천지역 제조기업의 경영 실적 전망 및 애로 요인’을 조사한 결과, 내수시장 침체, 원자재가·인건비 상승 등의 이유로 제조업체 10곳 중 7곳은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목표치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72.7%는 2025년 매출 목표 대비 실적이 ‘미달’(‘크게 미달’(28.1%), ‘일부 미달(10%이내)’(44.6%))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2025년 매출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27.3%(‘크게 초과 달성’(0.5%), ‘일부 초과 달성(10%이내)’(5.2%), ‘목표 수준 달성’(21.6%))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매출 증대를 가로막는 가장 큰 애로 요인은 ‘내수시장 침체’(58.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어서, ‘수출시장 경기 둔화’(21.1%), ‘시장 경쟁상황 심화’(11.2%), ‘공급망 등 생산차질’(4.7%) 순으로 나타났다. 2025년 영업이익 목표 대비 실적이 ‘미달’할 것이라고 전망한 인천지역 제조업체는 77.9%(‘크게 미달’(32.9%), ‘소폭 미달(10%이내)’(45.0%))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22.1%는 2025년 영업이익 목표 대비 실적을 ‘달성’(‘소폭 초과 달성(10%이내)’(3.9%), ‘목표치 달성’(18.2%))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목표치에 못 미칠 것으로 응답한 기업들의 비중이 높은 가운데, 응답 업체의 35.5%가 2025년 영업수지 실적 ‘적자’(‘적자 전환’(9.5%), ‘적자 지속’(26.0%))를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 활력 저하가 우려된다. 2025년 영업수지 실적이 ‘손익 분기 기준’일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38.1%, ‘흑자’를 예상하는 기업은 26.4%(‘흑자 유지’(23.4%), ‘흑자 전환’(3.0%))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경영 실적 부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응답 업체들은 기업 경영 상 비용측면에서 수익성 악화의 주된 원인은 ‘원자재가 상승’(42.4%)과 ‘인건비 상승’(28.6%)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이자 등 금융비용 증가’(12.5%), ‘관세 증가’(8.2%), ‘에너지비용 증가’(3.5%) 등도 수익성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인천지역 제조업체가 생산 및 조직 관리 차원에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 요인은 ‘기업 자금 사정’(40.3%)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력 수급’(27.7%), ‘부품조달 등 공급망 관리’(13.9%), ‘기업 규제 대응’(13.4%), ‘노사관계’(3.5%) 순으로 조사되었다.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어려운 경영 여건이 개선되지 않아 인천지역 제조업체에서 체감하는 부담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환경 측면에서는 철강, 자동차 등 인천지역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미국 관세 정책이 급변하면서, 무역환경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31.6%(‘크게 증가’(14.3%), ‘일부 증가’(17.3%))로 조사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노란봉투법, 상법 개정 등 기업 규제가 강화되면서, 새정부 출범 이후 기업경영 관련 법과 제도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었다고 느끼는 기업은 37.6%(‘크게 가중’(16.0%), ‘일부 가중’(21.6%))를 차지하였다. 정기국회에서 입법논의를 앞둔 시점에 인천지역 제조업체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법인세* 등 기업비용 증가’(26.7%)로 나타났으며, ‘노사관계 부담 증대’(22.1%)가 그 다음으로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이어서, ‘상법·공정거래법 등 기업제도 규제 강화’(19.3%), ‘입지, 환경 등 규제 강화’(13.4%), ‘정년연장 등 고용부담 가중’(8.7%), ‘납품대금연동제 등 시장규제 확대’(7.7%) 순으로 조사되었다.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27.0%는 ‘고용, 노동시장 유연화’를 기업성장과 경영실적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입법 분야로 꼽았다. 이어서,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17.9%), ‘투자 및 R&D 인센티브 확대’(16.3%), ‘위기산업 사업재편 등 지원’(10.0%), ‘부품수급 등 공급망 안정화 지원’(10.0%), ‘외국인고용 등 인력수급 지원’(6.8%), ‘AI 활용 증대를 위한 지원’(6.6%), ‘첨단산업 투자 지원’(4.5%) 순으로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인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인천지역 제조업체들은 매출 부진,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최근 다행히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관세가 15%로 타결되었지만, 관세 부담은 기업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노동 ·환경 ·안전 등 각 분야에서 기업 규제가 강화되었으나, 기업 현장에서는 대응 여력이 없어 생산성 저하 등을 우려하며 기업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 둔화와 비용 상승 등 어려운 시기인 만큼 기업이 다시 투자와 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기업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직접적인 자금 지원 등 적극적으로 힘을 보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별 첨 : 보고서 1부. 끝.
|
||||||||||||||||||||
| ▲ | 인천상의 그린파트너 연합활동 참여 |
|---|---|
| ‒ | 인천지역 제조기업 경영애로 및 입법과제 조사 |
| ▼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무역사절단 파견 |

우 21632 인천광역시 남동구 은봉로60번길 46(논현동, 인천상공회의소)
대표전화 : 032-810-2800~3, 팩스번호 032-810-2807 문의 : inchon@korcham.net
Copyright (c) 2017 incheon, All Right Reserved.